한글날

한글날

개요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1446년 훈민정음의 편찬을 널리 선포한 날을 기념하여 한글 및 그 창제 원리의 과학적 독창성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한글과 우리말을 소중히 가꾸고자 지정하는 국경일이다.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한다. 한글날은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 공휴일이며, 5대 국경일이기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이다.

역사

처음으로 한글날 기념식을 거행한 것은 훈민정음 반포 480년 기념일인 1926년 11월 4일의 일로, 현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와 신민사의 공동 주최로 식도원이라는 요릿집에서 수백 명이 참가한 가운데 당시로써는 성대하게 열렸다. 조선왕조실록에 훈민정음 관련 기사가 1446년 9월 말일(29일)에 실렸기 때문에 11월 4일에 기념식이 열렸다.

이 때까지는 아직 한글이라는 명칭이 널리 알려지지 않아 ‘가갸날’이라는 지금은 좀 생소한 명칭을 사용했으며[ 한글날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된 것은 1928년의 일이다.

원래 날짜는 음력이고 현재 사용하는 달력은 양력일 때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인 날짜가 매년 바뀌는 문제는 한글날에도 존재했는데, 이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되자 1931년에 음력 9월 29일의 날짜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 1932년부터는 10월 29일에 행사를 치렀고, 1934년에 그레고리력으로 다시 환산하여 1945년까지 10월 28일에 행사를 치렀다.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고, 여기에 책이 발간된 때가 음력 9월 상순(1~10일)으로 기록된 게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상순의 마지막날인 9월 10일로 상정하고 음력 1446년 9월 10일을 그레고리력으로 변환해 10월 9일을 기념하게 되었다. 단, 1940년에 훈민정음 원본이 발견되었지만 바로 그 해에 날짜가 바뀌진 않았다. 1937년 중일전쟁이 터진 이후에는 탄압 때문에 한글날 행사를 열기가 쉽지 않았고, 1942년에는 그 유명한 조선어학회 사건 때문에 기념식을 주관할 사람들이 모조리 투옥되는 바람에 열리지 못하는 등의 말 못 할 사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1945년 8.15 광복 이후에는 10월 9일에 한글날 행사를 진행했으며, 1949년에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건’을 처음 제정할 때부터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Licensed under CC BY-NC-SA 4.0
마지막 수정: 3월 07, 2025 00:01 UTC
comments powered by Disqus